가공식품 물가 6.8%·외식 6.0%·아이스크림 10.8%·우유 9.9% 올라

외식 물가 상승률, 전체 평균 11년째 웃돌아

외식비 부담 증가
외식비 부담 증가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물가 인상으로 외식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14일 한 시민이 김밥 가격이 표시된 서울 중구의 한 김밥전문점 앞을 지나가고 있다.
이날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준으로 김밥 가격은 10월 3천254원에서 11월 3천292원으로, 김치찌개 백반은 같은 기간 7천846원에서 7천923원으로 각각 올랐다. 2023.12.14 utzza@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1%대 증가에 그쳤지만, 먹거리 물가는 6%대 상승했다. 저소득층은 가처분소득이 늘지 않아 물가 부담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중 대표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6.8%로 전체(3.6%)의 1.9배를 기록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도 6.0%로 1.7배로 조사됐다. 이는 가공식품·외식 등 먹거리 물가 부담이 다른 품목에 비해 그만큼 컸다는 얘기다.

[표] 연도별 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률 (단위: %)

연도 총지수 가공식품 외식
2003 3.5 2.8 3.7
2004 3.6 5.1 3.9
2005 2.8 5.1 2.4
2006 2.2 1.4 1.9
2007 2.5 2.9 1.9
2008 4.7 10.6 4.8
2009 2.8 8.3 3.8
2010 2.9 1.3 2.3
2011 4.0 5.7 4.3
2012 2.2 4.6 1.1
2013 1.3 3.0 1.5
2014 1.3 3.7 1.4
2015 0.7 1.3 2.3
2016 1.0 0.5 2.5
2017 1.9 0.7 2.4
2018 1.5 1.3 3.0
2019 0.4 2.0 1.9
2020 0.5 1.4 0.8
2021 2.5 2.1 2.8
2022 5.1 7.8 7.7
2023 3.6 6.8 6.0

(자료=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외식 물가는 2013년부터 11년 연속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지난해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년(7.7%)보다 소폭 둔화했으나 2022년을 제외하면 1994년(6.8%) 이후 약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공식품 상승률도 2년 연속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했다. 2022년(7.8%)을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8.3%)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36개가 전체 물가 상승률(3.6%)을 웃돌았다.

외식물가 상승률 품목 80%가 평균 이상…피자 12.3%
외식물가 상승률 품목 80%가 평균 이상…피자 12.3%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소비자물가의 대표 먹거리 지표인 외식 물가 부담이 2년 넘게 커지면서 5개 중 4개 외식 품목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중 먹거리 지표인 외식 부문의 물가 상승률은 4.9%로 전체 평균보다 1.2%포인트 높았다. 외식 부문 39개 세부 품목 중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돈 품목은 31개로 79.5%에 달했다. 피자가 12.3%로 가장 높고, 오리고기(외식) 7.3% 등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피자가게 메뉴판. 2023.10.9 jin90@yna.co.kr

품목별 상승률을 보면 피자가 11.2로 가장 높았고 햄버거(9.8%), 김밥(8.6%), 라면(외식)(8.0%), 오리고기(외식)(8.0%), 떡볶이(8.0%), 돈가스(7.7%), 삼계탕(7.5%), 소주(외식)(7.3%) 등 순이었다.

자장면(7.2%), 비빔밥(7.2%), 해장국(7.1%), 맥주(외식)(6.9%), 구내식당 식사비(6.9%), 냉면(6.9%), 김치찌개 백반(6.4%), 칼국수(6.1%), 설렁탕(6.0%) 등의 가격 상승세도 높았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한 품목은 57개로 전체의 78.1%를 차지했다.

드레싱이 25.8%로 가장 높고 이어 잼(21.9%), 치즈(19.5%), 맛살(18.7%), 어묵(17.3%) 등 순이었다.

설탕(14.1%)과 소금(13.0%), 커피(12.6%), 아이스크림(10.8%), 우유(9.9%), 빵(9.5%), 생수(9.4%), 두유(9.3%), 라면(7.7%) 등 평소 서민들이 자주 찾는 품목의 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부, 빵·우유 등 28개 농식품 품목 가격 '매일 점검'
정부, 빵·우유 등 28개 농식품 품목 가격 ‘매일 점검’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정부가 빵과 우유를 비롯한 농식품 28개 품목의 물가를 매일 점검하기로 한 가운데 12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우유를 정리하고 있다.
정부는 물가 관리를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을 통해 파악해오던 농축산물과 외식 메뉴 등 19개 품목에 우유·빵·라면 등 가공식품 9개 품목을 더해 총 28개의 품목 가격을 매일 확인하기로 했다. 2023.11.12 ondol@yna.co.kr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3.1%로 전체(3.6%)를 밑돌았지만, 과실 물가 상승률은 9.6%로 치솟았다. 사과가 24.2%로 가장 높았고 귤(19.1%), 복숭아(11.7%), 파인애플(11.5%), 딸기(11.1%), 참외(10.5%) 등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채소(4.8%) 중에서는 생강(80.2%)과 당근(29.0%), 파(18.1%), 양파(15.5%), 오이(13.7%), 부추(13.5%), 상추(9.5%) 등의 부담이 큰 편이었다.

이처럼 높은 먹거리 물가 상승률에 비해 소득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1∼3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평균 393만1천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 늘었다. 4분기 소득이 남아 있지만 증가율이 큰 차이를 보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이자나 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뜻한다.

[표] 전체 가구 소득별 처분가능소득 추 (단위: 원, %)

소득 구분 2022년 1∼3분기 평균 2023년 1∼3분기 평균 증감률
전체 평균 3,884,521 3,930,878 1.2
1분위 896,340 904,128 0.9
2분위 2,197,379 2,203,162 0.3
3분위 3,297,519 3,352,313 1.7
4분위 4,737,181 4,835,659 2.1
5분위 8,290,344 8,355,219 0.8

(자료=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저소득층의 먹거리 부담은 더 컸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소득 하위 20%(1분위)의 가처분소득은 평균 90만4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9% 늘었다. 2분위는 220만3천원으로 0.3% 증가에 그쳤으나 3분위는 1.7% 늘었고 4분위는 2.1%, 5분위는 0.8% 각각 증가했다.

구분 품목별 상승률
외식 피자 11.2
햄버거 9.8
김밥 8.6
라면(외식) 8.0
오리고기(외식) 8.0
떡볶이 8.0
돈가스 7.7
삼계탕 7.5
소주(외식) 7.3
도시락 7.3
자장면 7.2
비빔밥 7.2
해장국 7.1
맥주(외식) 6.9
구내식당식사비 6.9
냉면 6.9
죽(외식) 6.6
김치찌개백반 6.4
쌀국수 6.3
생선회(외식) 6.2
칼국수 6.1
된장찌개백반 6.1
돼지갈비(외식) 6.0
설렁탕 6.0
짬뽕 5.8
볶음밥 5.5
삼겹살(외식) 5.4
갈비탕 5.3
치킨 5.1
불고기 4.8
탕수육 4.5
생선초밥 4.4
해물찜 4.4
막걸리(외식) 4.2
스파게티 4.2
스테이크 3.9
쇠고기(외식) 3.3
기타음료(외식) 2.3
커피(외식) 1.7
가공식품 드레싱 25.8
21.9
치즈 19.5
맛살 18.7
어묵 17.3
참기름 17.2
파스타면 15.9
초콜릿 15.8
당면 14.5
기타육류가공품 14.4
14.3
설탕 14.1
고추장 13.9
소금 13.0
스프 12.7
커피 12.6
발효유 12.5
물엿 12.2
혼합조미료 11.9
사탕 11.1
아이스크림 10.8
카레 10.0
우유 9.9
식용유 9.7
케이크 9.5
9.5
과일가공품 9.4
생수 9.4
두유 9.3
식초 9.3
부침가루 9.2
파이 8.9
된장 8.8
수산물통조림 8.6
주스 8.3
양념소스 8.1
라면 7.7
소시지 7.5
밀가루 7.2
분유 6.8
스낵과자 6.7
북어채 6.6
국수 6.3
단무지 6.1
두부 5.9
5.6
기타음료 5.6
5.4
편의점도시락 5.2
비스킷 4.7
밑반찬 4.5
기능성음료 4.4
양주 4.1
시리얼 4.0
오징어채 3.9
간장 3.7
냉동식품 3.6
즉석식품 3.5
김치 3.0
삼각김밥 2.9
맛김 2.8
탄산음료 2.8
소주 2.6
햄및베이컨 2.6
젓갈 2.5
맥주 2.4
과실주 2.2
홍삼 2.1
약주 1.6
막걸리 0.9
건강기능식품 0.6
이유식 -0.1
유산균 -2.2

※ 자료: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aka@yna.co.kr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