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보기관의 한국 국가안보실 도·감청 정황이 드러난 것과 관련해 김도균 전 수도방위사령관은 단기간에 이뤄진 용산 대통령실 이전으로 인한 보안의 허점이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김 사령관은 1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과거 청와대는 외부세력에 의한 도청이 물리적으로 어렵게 되어 있다”며 “용산은 미군 부대와의 인접성 등을 고려하면 보안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통령실과 가까운)국방부 합참은 미군과의 연합작전 수행 차원에서 많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며 더욱 보안 유지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아시다시피 청와대 용산 이전은 속도전으로 수행됐다”며 “기존의 국방부 합참본부, 그리고 예하 소속 기관들의 이사 문제와 또 옮겨오는 대통령실, 경호부대 개편 문제까지, 하드웨어적 요소를 고려하는데도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고 부담스러운 과정이었다”고 했다.

이어 “그런 상황에서 보안 문제 같은 소프트웨어적 요소를 고려하기는 했겠지만 정상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려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 사령관은 과거 국방부 청사(현 대통령실)에서 근무했을 때 사무실 유리창에 도청 방지시스템을 부착하는 공사가 이루어지기는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국방부 건물이 대통령실로 바뀐 현재 과거보다 수준 높은 보안 조치가 마련됐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사령관은 “(도청 기술이)기술적으로 고도로 첨단화돼 있다 보니까 창문뿐이 아니라 벽을 활용해서도 사실 도청이 가능하다”고 했다. 또 그 밖에 전화 도청이나 첩보 위성 등을 활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 사령관은 “기본적으로 용산 이전 과정에서 보안 문제에 대한 책임 기관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모두 인식했었는데 지난 1년간 어떤 보안 조치들이 이루어졌는지 복기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