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KAIST 포함 9개 대학 ‘양자대학원’으로 선정

기업과 인재·기술 공동육성, 산업 육성 위한 법령제정 추진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1월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를 찾아 ‘양자 석학과 대화’를 진행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현장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양자과학기술 인재 육성 필요성을 적은 쪽지를 전하기도 했다. / 사진=뉴시스

정부가 올해부터 9년간 KAIST(한국과학기술원)를 비롯한 9개 대학 컨소시엄(연합체)에 242억원을 투입해 양자과학기술 석·박사 인재를 키운다. 양자 분야 R&D(연구개발)와 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 참여 유도를 극대화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법령 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원회 전략대화’를 개최하고 인력·기술 육성 계획을 이같이 밝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김재수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윤석진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등 과학계 인사와 현대자동차·LG전자·포스코·SK텔레콤 등 산업계 전문가가 대거 참여했다.

올해 9월 가을학기부터 시작되는 KAIST(한국과학기술원) 포함 9개 대학 컨소시엄.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는 이날 신규 양자대학원으로 KAIST를 포함한 9개 대학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고려대 주관 9개 대학 컨소시엄’ 이후 두 번째 대학원이다. 이번에 KAIST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8개 대학은 △경북대 △부산대 △부경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충북대 △한밭대 등이다.

양자대학원은 국내 대학과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업 등이 협력해 다학제 교육·연구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향후 9년간 KAIST 주관 양자대학원에 242억원을 투입한다. 양자 분야 전문교육 과정 개발·운영 등을 통해 총 180명 이상의 박사급 전문 인력 배출을 목표한다.

이번 인력 육성 필요성은 윤석열 대통령도 지속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첫 해외 순방 일정 중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ETH)를 찾아 양자과학기술 인력 교류 등을 요청했다. 또 지난 4월에는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계기로, 양국은 ‘한·미 양자정보과학기술 협력 공동 성명서’를 체결했다. 성명서는 인력양성과 공동연구, 표준화 등에 협력하는 내용이다.

양자컴퓨터 활용한 신약·소재·센서 연구, 기업 참여 지원 강화



정부가 양자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는 양자 이득 도전연구와 소재혁신 시뮬레이터 개발 연구.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번 최고위에선 양자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 협력 중요성이 부각됐다. 양자과학기술이 R&D에 그치지 않고 관련 시장에 진입하려면 초기부터 기업 협력이 절대적이라는 의미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양자컴퓨터 기반 양자 이득 도전연구’를 추진한다. 기술 공급처(대학·출연연)와 수요처(기업)가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R&D 사업이다. R&D 과제당 연간 10억원씩 3년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중 과제 선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 KIST와 한양대, 현대자동차 등이 수소 생산·저장·활용 신소재 개발에 필요한 양자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 사업도 본격화한다. LG전자, 퀀텀센싱, 표준연 등이 참여해 양자센서를 개발하는 사업도 올해부터 착수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양자과학기술이 산업과 경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사진은 양자기술 시장 동향. / 사진=윤선정 디자인기자

이종호 장관은 “양자과학기술은 본격 상용화까지 추격의 기회가 열려있지만, 주요국들이 모두 전력 질주에 나서고 있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기술 추격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양자경제까진 장기레이스이고 양자 분야는 민·관이 함께 뛰어야 하는 이인삼각(二人三脚) 경기”라면서 “인력양성, 기술개발, 활용산업 창출에 산학연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집중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 중이다. 또 금융위원회와 협업해 양자 초기 스타트업 육성과 연구·산업화 지원을 위한 400억원 규모 신용 보증과 정책 펀드 제공에 나선다. 양자 펀드는 관련세부 절차를 마무리해 상반기 중 시행할 예정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