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집회에 대한 경찰의 ‘캡사이신 사용’ 강경 대응을 두고 누리꾼이 “시대를 역행하는 대응”이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내뱉었다. 사진은 지난 2015년 5월1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 사거리에서 경찰 측 살수차가 뿜어내는 물대포에 맞은 민주노총 조합원. /사진=뉴스1

경찰이 불법집회에 대해 ‘캡사이신 사용’ 등으로 강경 대응할 것을 경고하자 누리꾼이 ‘퇴보한 대처’라는 혹평을 쏟아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상황점검 회의를 열고 “심각한 시민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 현장에서 해산 조치하겠다”며 불법집회 대응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집회·행진 시간을 제한했음에도 시간을 초과해 해산하지 않고 야간문화제 명목으로 불법집회를 강행하거나 도심 집단 노숙 형태로 불법집회를 이어가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캡사이신 사용 등 강경 대응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지난달 31일 서울 도심권 일대에서 진행된 민주노총 대규모 집회를 대응하고자 캡사이신 장비 3800대가량을 준비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민주노총 총력투쟁에 투입된 서울경찰청 8개 기동단 80개 중대(5000여명)는 총 3780개의 캡사이신 이격용 분사기 장비를 확보했다.

경찰이 캡사이신 대응을 예고하며 실제 장비를 준비하자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누리꾼들의 날선 반응으로 가득했다. 시대를 역행하는 경찰의 대응라는 지적이다. 누리꾼들은 “곧 최루탄도 대응책으로 내놓을 기세” “폭력으로 국민을 제압할 생각이냐” “40년 전 독재시대로 되돌아간 기분” 등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한 누리꾼은 약 6년2개월만에 경찰이 캡사이신 카드를 꺼내 든 입장에 대해 맹폭했다. 경찰은 “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살수차·의경이 폐지되고 기동대원이 감소하면서 불법집회에 대응할 여건이 부족해졌기에 캡사이신 사용으로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누리꾼은 “전 정부에서 살수차와 캡사이신 분사를 없앤 이유를 모르는 것이냐”며 “불법집회의 판단 근거는 어떻게 정할 셈이냐”고 맹폭했다.

하지만 일부 누리꾼은 “불법집회를 제압하는 대응책인데 왜 반대하느냐”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몇만명의 퇴근길을 도로 위에 붙잡아 두는 불법집회에 대한 대응으로 정당하다” “남한테 피해주면서 하는 집회에 대해서는 강경 대응해야 한다” “캡사이신에 초점을 맞춰 불법집회를 규정한 대목을 간과하면 안 된다” 등 경찰 대응에 우호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