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희 진보당 의원이 자식을 해병대에 보낸 어머니에게서 받은 전화 내용을 전했다.

눈물 흘리는 중년 여성, 구명조끼 자료 사진 / Heying HUA, paikong-shuttestock.com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는 ‘수색 중 사망 해병대원 관련 국방부 장관 사과 및 재발 방지 대책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강성희 진보당 의원이 단상 위에 올라 마이크를 잡고 발언을 이어갔다.

강 의원은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 실종자를 수색하는 과정에서 급류에 휩쓸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해병대원 고(故) 채수근 일병의 순직을 애도했다.

강성희 의원은 “절규하며 떠내려가던 일병에게 의지할 수 있는 아무런 안전 장비가 없었다. 거센 물살이 이는 강에 들여보내면서 구명조끼 입힐 생각도 하지 않았냐”며 소리 내 비판했다.

강 의원은 “죽고 나서 태극기 덮어주면 뭐 하나”며 “살아있을 때 구명조끼를 입혀야 한다. 진상을 밝히고 (해병대 간부 등 윗선) 책임은 엄중하게 물어야 한다. 사과부터 하고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20일 오후 경북 포항시 해병대 1사단 내 김대식 관에 마련된 고 채수근 일병 빈소에서 채 일병의 어머니가 영정 사진을 보고 오열하고 있다. / 뉴스1

특히 강성희 의원은 “전주의 한 어머니가 전화를 하셨다. ‘해병대에 간 내 아들도 예천 수해 현장에 투입됐다’며 ‘아들과 연락이 닿지 않아 하루 종일 울었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그는 “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이분(전주 어머니)의 월급이 250만 원이다. 어머니는 ‘국방부가 구명조끼 살 돈도 없나 본데, 내가 한 달 월급 들고 해병대에 가서 구명조끼 사줄 것’이라고 하셨다”고 밝혔다.

강성희 의원은 “국방부, 해병대 어느 곳에서도 전화를 받지 않아 본인이 직접 구명조끼를 사서 당신 아들에게 입히겠다고 하셨다. 국방 의무는 국가의 책임을 전제로 한다. 최소한의 안전대책도 마련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국가가 군인의 의무 수행을 요구할 수 있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