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을 원천 차단하는 정맥 주사바늘이 개발됐다.

KAIST는 전기 및 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연구팀이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가변 강성 정맥 주사바늘’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주사바늘은 체내 삽입 시 부드러운 상태로 변해 생체조직 친화력을 높이고,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졌다.

특히 체온에 따라 달라지는 강성도는 주사바늘로 정맥 내 약물을 투여할 때 혈관을 손상하거나 염증이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는다.

이는 체온에 따라 주사바늘이 유연해져 정맥에 약물을 주입할 때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 주사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하는 원리다.

여기에 한번 사용한 주사바늘을 다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은 주사바늘의 비윤리적 재사용 문제(혈액을 매개한 질환 감염)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카렌-크리스티안 아그노(Karen-Christian Agno) 박사과정 연구원과 의과학대학원 양경모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도 게재(10월 30일자)됐다.

정재웅 교수는 “개발된 ‘가변 강성 정맥 주사바늘’은 기존의 딱딱한 의료용 바늘이 가진 문제를 해결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보장하고, 주사바늘 재사용으로 인한 감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한편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으로 신속한 효과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약물 투여로 치료를 가능케 해 범세계적 치료 방법으로 쓰인다.

하지만 그간 주사바늘은 금속, 플라스틱 등 딱딱한 소재로 제작돼 부드러운 생체조직에 손상과 염증을 발생시킬 염려가 커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혈관 손상과 통증 해소를 위한 추가 치료 및 의료비용 발생의 원인이 됐다.

또 일부는 비용 절감을 위해 주사바늘을 재사용하는 비윤리적 행위로 환자의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B형/C형 간염 바이러스 등 심각한 혈액 매개 질환 감염을 초래하기도 했다.

같은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HO)는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강조, 재사용이 불가능한 스마트 주사기 개발과 사용을 장려하는 중이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