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이 인구수 회복을 위해 파격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내놨다.

거창군청 자료 사진 / 연합뉴스

13일 거창군에 따르면 1989년 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는 8만 2016명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6만 명대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후 거창군은 인구 6만 명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저출산과 수도권 이주 집중 등 여파를 그대로 맞은 끝에 결국 지난 4일 기준 인구 5만 9989명을 기록했다. 24년 만에 5만 명대로 내려간 것이다.

아기 관련 사진 / Liudmila Fadzeyeva-shutterstock.com

현재 거창군은 인구 회복을 위해 정책 새판짜기에 나섰다.

우선 정주인구 유지를 위해 지역 주춧돌과 같은 8개 고등학교와 2개 대학 및 교육기관과 협업 거버넌스를 강화해 ‘교육 연계형 학령인구 확보’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또 기업이나 단체 등의 실거주 미전입 직원이 유입될 수 있도록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정착지원’을 하고 생산형 일자리도 늘린다.

지폐 관련 사진 / aof3061-Shutterstock.com

등록인구에 체류인구(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를 더한 개념인 생활인구는 연간 100만 명을 목표로 볼거리·즐길 거리·편의를 확대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연극예술복합단지, 아트갤러리, 화장장 건립 등이 생활 인구 증가와 맞닿아 있는 사업이다.

여기에 더해 온천과 연계한 민자유치 치유복합 레저타운과 수승대 야행 관광 인프라 등도 추진하고 빼재 산림레포츠파크 개장으로 ‘동서남북 권역별 관광벨트’를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저출산 극복을 위해 중·장기 정책으로 출생아 1인당 총 1억 1000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생애주기별 모니터링으로 임신·출산부터 양육, 청소년기, 성인이 된 뒤 정착까지 지원해 거창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이 지역에 정착하게끔 유도한다.

출산축하금 2000만 원, 양육지원금 30만 원씩 60개월 지원, 청소년 꿈키움바우처 제공, 대학생 등록금 및 결혼축하금 지급 등 구체적 정책의 얼개도 짜인 상황이다.

거창군은 새 인구정책의 과감한 이행으로 전국이 겪는 인구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를 실효성 있게 극복하겠다는 입장이다.

거창군 관계자는 “인구는 곧 지역의 경쟁력이기 때문에 6만 명이라는 숫자는 상징적 차원을 넘어 꼭 유지해야 할 숫자”라며 “1억 1000만 원 지원 등 파격적 지원 대책을 추진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